
Rhino.Inside 에서 커브를 활용한 Revit 구조 보 자동 작성 방법
2024년 10월 25일
Revit의 네이티브 객체 생성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hino 커브를 사용해 Revit에서 구조 보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Revit에서 비정형 구조물, 특히 트러스 형태의 구조 보를 작성할 때 수직과 수평이 아닌 곡선이나 복잡한 형상을 다루기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Rhino.Inside를 활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Rhino에서 생성한 커브를 Revit에 바로 연동하여, 복잡한 구조 프레임을 빠르고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Rhino.Inside의 장점
- 복잡한 곡면 및 비정형 구조 작업 간소화: Rhino에서 설계한 자유로운 커브를 Revit에 가져와 구조 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트러스, 아치형 구조 등 복잡한 형태의 프레임 설계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 정확한 위치 설정: Rhino.Inside를 사용하면 복잡한 형태나 곡선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Revit 내에서 수작업으로 정렬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듭니다.
- 실시간 연동: Rhino에서 커브가 변경되면 Revit에서도 자동으로 수정이 반영되므로, 설계 변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단점 및 고려 사항
간단한 형태의 경우 네이티브 객체이기 때문에 레빗에서 수정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형태의 구조를 작업할 경우, 커브를 Rhino에서 수정 후 다시 Revit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이 다소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보다 정교한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세한 작업 과정과 실시간 연동 방법은 첨부된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이전 글
다음 글 →
답글 남기기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