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t의 좌표계(프로젝트 기준점, 측량 기준점, 내부 원점) 

2024년 10월 11일

Revit의 좌표계 이해하기

Revit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좌표계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라면 크게 신경 쓰지 않고 넘어갈 수 있지만,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고 다른 프로그램과 3D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에는 좌표 체계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Revit에서는 프로젝트 기준점(Project Base Point)과 측량 기준점(Survey Point) 그리고 내부 원점(Internal Origin) 이렇게 총 3개의 좌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준점 (Project Base Point)

프로젝트 기준점 예시
이미지 1. 프로젝트 기준점 예시, ⓒ디지털디자인포럼

프로젝트 기준점은 기본적으로 Revit 파일들 간에 링크를 통해 모델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 되는 점으로 각 프로젝트 파일마다 임의로 정한 프로젝트 좌표계의 상대적인 원점(0,0,0)입니다. 움직일 수 없는 절대 원점인 내부 원점(Internal Origin)과는 다르게 프로젝트의 상황에 맞게 언제든 재배치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좌표계를 참조하는 지정점 좌표 및 지정점 레벨은 이 기준점으로부터 상대적인 좌표로 표시됩니다. 규모가 커서 여러 동으로 파일을 분리해야 할 경우 분리 된 각 동 파일마다 기준점(0,0,0)을 가지고 있는데 이 기준점을 기반으로 각 동 파일 내에 있는 객체들의 좌표를 보다 편리하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기준점(Project Base Point)은 측량 기준점(Survey Point)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 거리는 마스터 파일에서 공유대지를 통해 좌표를 공유할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추가적으로는 진북과 도북의 각도를 직접 입력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프로젝트 기준점이 배치되는 위치는 규모나 상황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나 공장 단지처럼 여러개의 동 파일이 마스터 파일에 링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 파일의 그리드가 교차하는 곳이나 건물의 구석에 기준점을 배치하기도 하며, 규모가 작거나 단일 건물일 경우 대지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하기도 합니다. 

측량기준점(Survey Point)

측량기준은 링크된 Revit파일이나 Cad파일들 간에 공유좌표계(Shared Coordinates System)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우 배치의 기준이 되는 마스터파일에 개별 동 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와 배치하는데 배치된 각 동 파일들은 마스터파일의 조사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공유 합니다.

또한 마스터파일에서 진북과 도북을 설정하면 좌표를 공유하고 있는 각 동 파일에도 마스터파일의 진북 도북 설정이 적용됩니다. 이번에는 1개의 마스터파일(Site.rvt)에 3개의 동파일(Building A,B,C)을 배치해 좌표를 공유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시공 및 계획 편의상 A,B,C 각 동 파일의 좌측 하단 구석에 프로젝트 기준점과 조사점을 동일한 위치에 배치
이미지 2. A, B, C 동의 좌측 하단에 프로젝트 기준점과 조사점 배치, ⓒ디지털디자인포럼
A,B,C 각 동을 공유좌표를 통해 마스터파일 조사점 공
이미지 3. A,B,C 각 동을 공유좌표를 통해 마스터파일 조사점 공유 ⓒ디지털디자인포럼
A,B,C 각 동을 공유좌표를 통해 마스터파일(Site.rvt)로 링크 후 배치
이미지 3. A,B,C 각 동을 공유좌표를 통해 마스터파일로 링크 후 배치, ⓒ디지털디자인포럼
마스터파일 조사점 예시
이미지 4. 배치 후 마스터파일을 저장하면 A,B,C 각 프로젝트들이 마스터파일의 조사점을 공유함, ⓒ디지털디자인포럼

일반적으로 마스터파일에서 조사점이 배치되는 적절한 위치는 한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토목기준점 혹은 2개의 대지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토목 기준점은 토목이나 건축공사를 위해 준공시까지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는 대지 근처의 T.B.M(가수준점)을 말합니다. Revit의 모든 형상들은 내부원점을 기준으로 반지름 16km 넘어가면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진 B.M(수준점)에 조사점을 배치하면 부정확해 질 수 있습니다. 

내부원점(Internal Origin)

Revit 2020.2 이전 버전까지는 내부 원점(Internal Origin)*이 눈에 보이지 않아, 많은 사용자들이 그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Revit 2020.2 업데이트 이후, 내부 원점도 프로젝트 기준점(Project Base Point)이나 측량 기준점(Survey Point)처럼 3D 뷰뿐만 아니라 모든 뷰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내부 원점을 쉽게 확인하고 좌표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부 원점
이미지 4. 내부 원점, ⓒ디지털디자인포럼

내부원점이 중요한 이유는 CAD 나 라이노, 스케치업 등 좌표계를 사용하는 타 프로그램과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기준이되는 점입니다. [이미지 4]처럼 스케치업의 원점에서 작성된 모델을 원점대 원점(origin to origin)으로 Revit으로 링크했을 때 프로젝트 기준점이나 측량기준점(구 조사점)이 아닌 내부원점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Revit 2024 이전 버전까지는 내부 원점(Internal Origin)이 지형을 만들 때 Z값(고도)의 기준이 되는 절대 좌표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Revit 2024부터는 높이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져 더 유연한 지형 모델링이 가능해졌습니다. 관련 내용은 [여기]를 클릭해서 확인해 보세요.


답글 남기기


관련 포스트

  • 레빗_모델링_판스워스하우스

    판스워스하우스 만들기 모음

  • 레빗_모델링_전망대-3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3 : with Twinmotion | by Studio MOTO

  • 레빗_모델링_전망대-2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2 | by Studio MOTO

  • 레빗_모델링_전망대-1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1 | by Studio MOTO

  • 주심도 작성방법-2

    주심도 작성방법-2

  • 주심도 작성방법

    주심도 작성방법-1

  • 레빗_콘크리트 계단 이슈 모음

    콘크리트 계단 관련 이슈 모음

  • 레빗에서 꺾인 3D 단면도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