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빗_콘크리트 계단 이슈 모음

콘크리트 계단 관련 이슈 모음

2024년 10월 10일

1.형상결합관련 이슈

안녕하세요 포럼 매니저입니다 🙂 
오늘은 실무에서 레빗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골칫거리 중 하나인 콘크리트 계단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콘크리트 계단이 어떤 이슈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죠.

레빗에서 계단과 관련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다른 객체와 형상 결합이 안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의 이미지처럼 계단과 벽체가 만나거나(1번 이미지), 계단과 바닥이 만날 때 형상 결합을 할 수가 없죠…

Revit 계단이슈 01
이미지 1. 형상 결합 관련 이슈, ⓒ디지털디자인포럼

물론 도면에서 선이 있다고 하더라도 경험 많은 현장에서 진짜로 콘크리트 계단과 벽체를 분리해서 시공하지는 않겠지만 설계하는 입장에서는 오해의 여지를 최소화 해야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슈에 대해서 아래의 방법으로 처리를 하곤 합니다. 

1-1 채워진영역(Filled Region)의 활용

첫 번째 방법은 아래 이미지처럼 채워진 영역(Filled Region)을 사용해서 계단과 벽체가 결합이 된것처럼 만드는 것입니다.

이 방법이 너무 손이 많이가서 불편하신 분들은 그나마 대안으로 대충 비슷한 크기의 사각형 채워진 영역을 만들고 연속된 라인의 중간에 배치해서 선이 끊어진것처럼만 표현하기도 합니다… 참 바보같지만…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인것 같습니다.

Revit 계단이슈 02
이미지 2. 채워진 영역의 활용, ⓒ디지털디자인포럼

1-2 노트(Note)로 해결

두 번째 방법은 안되는걸 굳이 억지로 하려고 하지말고 레빗의 한계를 인정하고 일반사항이나 노트 등으로 해결을 하는 방법입니다. 노트를 너무 남용하면 시공사나 감리에서는 별로 좋아하지 않겠지만. 설계를 하는 입장에서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일을 하려면… 노트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Revit 계단이슈 03
이미지 3. 노트의 활용, ⓒ디지털디자인포럼

2.계단참을 어떻게 모델링 할지? [ 바닥(Floor) vs 계단참(Landing) ]

레빗에서 모델링을 할때 딱히 정해진 방법이 없다보니 사용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링을 할 수 있는데요. 계단참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표처럼 바닥(Floor) 혹은 계단참(Landing)으로 작성을 합니다.

레빗에서 모델링을 할때 딱히 정해진 방법이 없다보니 사용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링을 할 수 있는데요. 계단참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표처럼 바닥(Floor) 혹은 계단참(Landing)으로 작성을 합니다.

 구분 바닥(Floor)으로 작성 계단참(Landing)으로 작성
계단과 계단참의
연결부 처리
 2.바닥작성.png2.계단참작성.png 
계단참(Landing)없이 계단(Run)과 바닥(Floor)만으로는 자연스러운
경사 연결부 모델링 불가 (이 상태에서는 연결부를 슬래브 엣지 or 매스로 작성 )
계단참(Landing)으로 모델링하면 자연스러운 경사 연결부 모델링 가능 
구조도면 작성시
가시성 필터 적용
2.해치표현바닥.png 2.해치표현 복합(일체계단).png 
구조도면 작성시 슬래브 다운을 표현하기 위한 해치 필터 표현 가능 구조도면 작성시 슬래브 다운을 표현하기 위한 해치 필터 표현 불가능
바닥과 계단참을
복합적으로 사용
바닥과 계단참 혼합 작성 
2.복합작성-07.png
위 2가지 방식이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2가지 방식을 혼합해서 작성하기도 함.
(단, 이렇게 되면 단면도 or 평면도에서 형상결합이 안되는 부분에 대한 처리가 필요 + 중복물량 발생)  
표 1. 계단참 모델링 방식 비교, ⓒ디지털디자인포럼

3.계단 구조와 건축(마감)을 분리 할지?

그럼 이번에는 구조와 마감을 분리를 했을때와 하지 않았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표로 살펴보도록 하죠.

 구분분리 모델링 일체(복합) 모델링 
Spot
Elevation 
건축계단이슈정리_스팟_건축_분리.png 계단이슈정리_스팟_건축_일체-11.png 
( O )
Spot Elevation(FL&SL)을 정상적으로 표현 가능
( X )
구조와 마감을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 Spot Elevation이 SL-30이 아니라 전체계단 두께인 SL-180으로 인식
구조계단이슈정리_스팟_구조_분리.png 계단이슈정리_스팟_건축_일체-13.png 
( O )
마감 제거 후 골조 슬래브 레벨만 표현 가능 
( X )
가시성 설정에서 Treads/Risers 숨기면
Spot Elevation 작성 불가  
Treads / Risers
라인
평면계단이슈정리_라이저_분리.png 계단이슈정리_라이저_일체.png
( O )
건축도면에서 골조선과 마감선을 같이 표현 가능하며, 구조도면 작성시 마감선을 제외한 골조선만 표현 가능 
( X )
골조선과 마감선을 분리해서 표현이 불가능하며 구조도면작성시 마감을 숨겨도 골조선이 아닌 마감선으로 표현됨 
단면
3-3 계단(분리).png 
( O )
단면에서는 두가지 방법 모두 골조선과 마감선을 분리해서 표현 가능 
가시성 설정에서 해치 필터 적용 ( △ )
바닥으로 작성시 가능, 2번 참고
( X)
불가능, 2번 참고 
 형상결합 ( X )
불가, 1번 참고
 ( X )
불가, 1번 참고
 작업시간 오래 걸림 모델링 속도 빠름
표 2. 계단 건축 구조 분리 비교, ⓒ디지털디자인포럼

4.마무리

여기까지해서 콘크리트계단을 만들 때 가장 많이 직면하게 되는 이슈들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는데요.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를 해보면, 결국 레빗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정확하게 설계자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구조와 마감을 분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 실시도서를 납품할 때에는 분리를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변경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겠죠.

형상결합과 관련해서는 구조와 마감 분리 여부와 상관없이 어차피 안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노트를 활용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계단참을 바닥으로 할것인지 참(Landing)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참(Landing)으로 한번에 모델링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중간에 있는 계단참은 Landing으로 하고 진입레벨에 있는 계단참만 바닥으로 하는게 이상하기도 하고, 계단실 슬래브다운 표현이 안되는 것은 형상 결합과 마찬가지로 노트( ex) 표기없는 계단실 바닥 레벨은 SL-30)로 충분히 해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쩔수 없이 다른 표기를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해당 영역에 대해서만 별도의 주석작업으로 해결 할 수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더 좋은 의견 혹은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편하게 의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콘크리트 계단 관련 이슈 모음”에 대한 4개의 응답

  1. 현소 아바타

    포스팅 내용과 관련없는 내용이지만 질문이있어 댓글 남깁니다.
    계단 단면상에서 계단 타일마감부분만 채움색 없이 선만 나오게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포매 아바타

      안녕하세요
      계단 Run 선택하신 다음에 특성창에서 Thread 혹은 Riser의 재질에서 바꾸시면 될 것 같습니다.
      투명하게 한다기보다는 레빗 배경이 흰색이면 단면에서 solid fill을 흰색으로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 현소 아바타

        감사합니다 잘 해결되었습니다. 계단 재질특성에서 색 변경 후에 템플릿 재지정 필터에서도 계단-재지정 없음 으로 선택하니 제가 지정한 색대로 나오네요 !!!

        1. 포매 아바타

          해결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답글 남기기


관련 포스트

  • 레빗_모델링_판스워스하우스

    판스워스하우스 만들기 모음

  • 레빗_모델링_전망대-3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3 : with Twinmotion | by Studio MOTO

  • 레빗_모델링_전망대-2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2 | by Studio MOTO

  • 레빗_모델링_전망대-1

    Revit Westerpunt Observation Modeling #1 | by Studio MOTO

  • 주심도 작성방법-2

    주심도 작성방법-2

  • 주심도 작성방법

    주심도 작성방법-1

  • 레빗에서 꺾인 3D 단면도 만들기

  • 피난거리 검토

    피난 거리 검토하기 (Path of Tra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