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나모 데이터 매칭(Lacing Option): Shortest, Longest, Cross Product 설명
다이나모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데이터 매칭(Lacing Option)입니다. 입력되는 데이터의 크기나 개수가 다를 때, 이를 어떻게 연결할지 설정하는 옵션이 바로 Lacing입니다. 적절한 Lacing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이나모에서는 Lacing 옵션을 통해 데이터를 매칭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설정하는 방법은 노드를 우클릭한 후 Lacing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Lacing의 옵션은 Shortest, Longest, Cross Product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Lacing 옵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같은 데이터라도 설정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Shortest Lacing
Shortest Lacing은 기본값으로, 입력된 데이터 중 가장 짧은 리스트의 원소가 끝나는 시점에서 연결을 멈춥니다. 즉, 두 리스트를 1:1로 매칭할 때, 짧은 리스트에 맞춰 데이터를 연결하고, 그 후에는 더 이상의 연결을 하지 않습니다.
예시
- 첫 번째 리스트:
[ Point(0,0,0), Point(10,0,0), Point(20,0,0), Point(30,0,0) ]
(4개 원소) - 두 번째 리스트:
[ Point(0,0,20), Point(10,0,20), Point(20,0,20), Point(30,0,20), Point(40,0,20), Point(50,0,20) ]
(6개 원소)
Shortest
옵션을 적용하면, 짧은 리스트(4개 원소)의 마지막 원소까지 1:1로 매칭되며, 긴 리스트의 나머지 원소들은 무시됩니다.
결과
1. Line(Point(0,0,0) -> Point(0,0,20))
2. Line(Point(10,0,0) -> Point(10,0,20))
3. Line(Point(20,0,0) -> Point(20,0,20))
4. Line(Point(30,0,0) -> Point(30,0,20))
2. Longest Lacing
Longest Lacing은 짧은 리스트의 원소가 다 소진되면, 그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계속 재사용하여 긴 리스트의 모든 원소와 연결될 때까지 반복하는 방식입니다. 이 옵션은 긴 리스트의 모든 데이터를 활용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예시
- 첫 번째 리스트:
[ Point(0,0,0), Point(10,0,0), Point(20,0,0), Point(30,0,0) ]
(4개 원소) - 두 번째 리스트:
[ Point(0,0,20), Point(10,0,20), Point(20,0,20), Point(30,0,20), Point(40,0,20), Point(50,0,20) ]
(6개 원소)
Longest
옵션을 적용하면, 짧은 리스트(4개 원소)의 마지막 원소가 반복되어 긴 리스트의 나머지 원소들과 연결됩니다.
결과
1. Line(Point(0,0,0) -> Point(0,0,20))
2. Line(Point(10,0,0) -> Point(10,0,20))
3. Line(Point(20,0,0) -> Point(20,0,20))
4. Line(Point(30,0,0) -> Point(30,0,20))
5. Line(Point(30,0,0) -> Point(40,0,20)) # 마지막 원소 재사용
6. Line(Point(30,0,0) -> Point(50,0,20)) # 마지막 원소 재사용
3. Cross Product Lacing
Cross Product Lacing은 두 리스트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즉, 리스트의 각 원소가 서로 크로스 매칭되어 가능한 모든 연결이 이루어집니다. 이 옵션은 각 원소가 서로 조합되는 복잡한 관계를 다루거나 다차원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 첫 번째 리스트:
[ Point(0,0,0), Point(10,0,0), Point(20,0,0), Point(30,0,0) ]
(4개 원소) - 두 번째 리스트:
[ Point(0,0,20), Point(10,0,20), Point(20,0,20), Point(30,0,20), Point(40,0,20), Point(50,0,20) ]
(6개 원소)
Cross Product
옵션을 적용하면, 첫 번째 리스트의 각 원소가 두 번째 리스트의 모든 원소와 조합되어 연결됩니다.
결과
1. Line(Point(0,0,0) -> Point(0,0,20))
2. Line(Point(0,0,0) -> Point(10,0,20))
3. Line(Point(0,0,0) -> Point(20,0,20))
4. Line(Point(0,0,0) -> Point(30,0,20))
5. Line(Point(0,0,0) -> Point(40,0,20))
6. Line(Point(0,0,0) -> Point(50,0,20))
7. Line(Point(10,0,0) -> Point(0,0,20))
...
24. Line(Point(30,0,0) -> Point(50,0,20))
4. Lacing 옵션 요약
- Shortest는 입력 데이터의 길이가 다를 때, 가장 짧은 리스트에 맞추어 연결하는 옵션으로,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긴 리스트의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긴 리스트가 중요할 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Longest는 짧은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재사용하여 긴 리스트의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원소의 반복 사용이 의도한 결과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Cross Product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시도하기 때문에, 복잡한 연결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리스트의 길이가 길수록 결과가 급격히 많아지기 때문에 성능에 주의해야 합니다.
- Auto는 기본적으로 Shortest 방식으로 동작하며, 입력 리스트의 길이를 비교한 후 가장 짧은 리스트에 맞춰 데이터를 매칭합니다.
5. 결론
Lacing 옵션은 다이나모에서 데이터를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Shortest, Longest, Cross Product 옵션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복잡한 데이터 처리에서 올바른 결과를 얻는 핵심입니다. 각 옵션이 제공하는 결과는 데이터의 매칭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Lacing 의 정확한 작동 원리를 꼭 이해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답글 남기기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