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t Tips & Tricks

Revit 분류

Revit의 좌표계(프로젝트 기준점, 조사점, 내부원점) / Revit's coordinate system (project base point, survey point, internal origin)

작성자 정보

  • Manager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710 조회
  • 2 댓글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Revit의 좌표계


 Revit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좌표계를 이해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작은 경우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고 진행 할 수도 있지만 규모가 커지고 링크를 통해 파일을 관리하고 스케치업이나 라이노, 카티아, 트윈모션 등 좌표계를 사용하는 타 프로그램과 3D 모델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작업하기 위해서는 Revit의 좌표 체계를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Revit은 겉으로 보기에는 기준점(Project Base Point)과 조사점(Survey Point) 2가지의 좌표계를 사용하고 있는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이지는 않는 내부원점(Internal Origin)을 포함해 총 3개의 좌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했을 때 기준점과 조사점은 내부원점(0,0,0)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총 3개의 좌표가 한 곳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먼저 이 3가지 좌표의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기준점(Project Base Point)


 프로젝트 기준점은 기본적으로 Revit 파일들 간에 링크를 통해 모델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 되는 점 으로 각 프로젝트 파일마다 임의로 정한 프로젝트 좌표계의 상대적인 원점(0,0,0)입니다. 움직일 수 없는 절대 원점인 내부원점(Internal Origin)과는 다르게 프로젝트의 상황에 맞게 언제든 재배치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좌표계를 참조하는 지정점 좌표 및 지정점 레벨은 이 기준점으로부터 상대적인 좌표로 표시됩니다. 규모가 커서 여러 동으로 파일을 분리해야 할 경우 분리 된 각 동 파일마다 기준점(0,0,0)을 가지고 있는데 이 기준점을 기반으로 각 동 파일 내에 있는 객체들의 좌표를 보다 편리하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점(Project Base Point)은 조사점(Survey Point)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 거리는 마스터 파일에서 공유대지를 통해 좌표를 공유할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추가적으로는 진북과 도북의 각도를 직접 입력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프로젝트 기준점이 배치되는 위치는 규모나 상황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나 공장 단지처럼 여러개의 동 파일이 마스터 파일에 링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 파일의 그리드가 교차하는 곳이나 건물의 구석에 기준점을 배치하기도 하며, 규모가 작거나 단일 건물일 경우 대지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하기도 합니다. 



aa95d13e57cf845e2b90953760aa3605_1570379728_3383.PNG
 











2.조사점(Survey Point)


 조사점은 링크된 Revit파일이나 Cad파일들 간에 공유좌표계(Shared Coordinates System)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우 배치의 기준이 되는 마스터파일에 개별 동 프로젝트 파일을 불러와 배치하는데 배치된 각 동 파일들은 마스터파일의 조사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공유 합니다. 또한 마스터파일에서 진북과 도북을 설정하면 좌표를 공유하고 있는 각 동 파일에도 마스터파일의 진북 도북 설정이 적용됩니다. 이번에는 1개의 마스터파일(Site.rvt)에 3개의 동파일(Building A,B,C)을 배치해 좌표를 공유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aa95d13e57cf845e2b90953760aa3605_1570381490_4619.PNG

< 시공 및 계획 편의상 A,B,C 각 동 파일의 좌측 하단 구석에 프로젝트 기준점과 조사점을 동일한 위치에 배치 >





aa95d13e57cf845e2b90953760aa3605_1570374591_331.PNG

< A,B,C 각 동을 공유좌표를 통해 마스터파일(Site.rvt)로 링크 후 배치 >  







aa95d13e57cf845e2b90953760aa3605_1570374921_029.PNG

< 배치 후 마스터파일을 저장하면 A,B,C 각 프로젝트들이 마스터파일의 조사점을 공유함 >




aa95d13e57cf845e2b90953760aa3605_1570382779_5547.PNG 

 < A,B,C 각 동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보면 마스터파일에 배치된 좌표를 기준으로 조사점이 이동한 것을 볼 수 있음. 즉 3개의 동파일이 하나의 조사점을 공유함 >

일반적으로 마스터파일에서 조사점이 배치되는 적절한 위치는 한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토목기준점 혹은 2개의 대지경계선이 교차하는 지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토목 기준점은 토목이나 건축공사를 위해 준공시까지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는 대지 근처의 T.B.M(가수준점)을 말합니다. Revit의 모든 형상들은 내부원점을 기준으로 반지름 16km 넘어가면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진 B.M(수준점)에 조사점을 배치하면 부정확해 질 수 있습니다. 











3.내부원점(Internal Origin)


내부원점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프로젝트 내에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움직일 수 없는 절대적인 좌표(0,0,0)입니다.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내부원점이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지만 CAD 나 라이노, 스케치업 등 좌표계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기준이되는 점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스케치업의 원점에서 작성된 모델을 원점대 원점(origin to origin)으로 Revit으로 링크했을 때 프로젝트 기준점이나 조사점이 아닌 내부원점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Revit의 3D View에 보이는 Red,Green,Blue 좌표표기선은 설명을 위해 배치한 좌표표기 패밀리 이며 실제로는 내부원점위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좌표 표기패밀리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d676eeb0c9873c0dfff608671db52629_1570457312_7748.PNG
 






추가적으로 내부원점은 지형을 만들 때 Z값(고도)의 기준이 되는 절대 좌표입니다. 예를 들어 10,000mm~10,500mm 사이의 고도값(Z Value)을 가지고 있는 지형을 작성하면 아래의 이미지 처럼 내부원점(Internal Origin)으로부터 10,000mm~10,500mm 떨어진 고도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내부원점은 고정된 절대좌표이기 때문에 이 좌표를 해수면 기준점(SEA LEVEL)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케치업이나 라이노 카티아 등 타 프로그램과 모델 데이터를 공유할 때 Ground Level이 원점으로 부터 너무 높이 설정되어 있으면 작업 효율이 떨어 질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Ground Level을 내부원점에 맞추고 마스터 파일의 조사점을 해수면 기준점으로 사용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d676eeb0c9873c0dfff608671db52629_1570465426_4272.PNG
 





관련자료

댓글 2

scyq님의 댓글

  • scyq
  • 작성일
상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Massde님의 댓글

  • Massde
  • 작성일
꿀 같은 팁과 정보 감사합니다.
전체 66 / 1 페이지
RSS
  • 레빗 2025 신 기능 | 주요 업데이트 7가지 소개 [What's new In Revit 2025] 댓글 1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4.08 포인트 무료 조회 1050 추천 0 비추천 0

    Tips&Tricks 1.패밀리 배열 기능 개선 [0:22] 2024 버전에서는 패밀리 편집에서 배열을 할 때 0,1을 입력할 수 없었는데요, 2025 버전에서는 배열을 할 때 0,1을 입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 패밀리가아닌 프로젝트 파일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빠른 정렬 …

  • 레빗 2025 신기능 | 지형(Toposolid)관련 8가지 신기능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4.08 포인트 무료 조회 805 추천 0 비추천 0

    Tips&Tricks 1.1토포솔리드 굴착기능(Excatave) [0:22] 2024버전에서는 빌딩패드가 없어졌기 때문에 토포솔리드를 절단하기위해서는 보이드를 통해서 Cut 해야 했습니다. 2025버전에서는 굴착(Excavate)기능이 추가되어서 바닥, 지붕, 토포솔리드 등으로 지형을 굴착…

  • [레빗 실무]주심도 작성방법-2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3.05 포인트 무료 조회 807 추천 0 비추천 0

    Tips&Tricks 안녕하세요!2024년이 시작한지 얼마 안 지난것 같은데 벌써 3월이 시작되었습니다. 시간이 정말 빠른것 같습니다.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레빗에서 주심도를 만드는 두 번째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첫 번째 방법이 패밀리를 활용한 방법이었다면 두 번째 방법은…

  • [레빗 실무] 주심도 작성방법-1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2.05 포인트 무료 조회 1286 추천 0 비추천 0

    Tips&Tricks 안녕하세요 포매입니다 :) 오늘은 레빗에서 주심도를 작성하는 방법 중 하나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주심도를 그릴 때에는 실제 기둥의 스케일을 2배 이상 튀겨서 작성을 하다보니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레빗의 컨셉과 충돌하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그렇다 보니 완벽한 방법 보다…

  • [레빗 실무] 콘크리트 계단 관련 이슈 모음 댓글 5
    등록자 Manager
    등록일 11.05 포인트 무료 조회 2309 추천 3 비추천 0

    Tips&Tricks 안녕하세요 포럼매니저입니다 :) 오늘은 실무에서 레빗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골칫거리 중 하나인 콘크리트 계단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콘크리트 계단이 어떤 이슈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죠. 1.형상결합관련 이슈 레빗에서 계단과 관련된 가장…

  • 꺾인 3D 단면도 만들기 댓글 6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6.19 포인트 무료 조회 2362 추천 2 비추천 0

    Tips&Tricks 단면상자를 활용해서 꺾인 3D 단면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isometric뷰 뿐만 아니라 perspective뷰로도 바꿀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피난거리 검토하기 (Path of Travel) 댓글 8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6.14 포인트 무료 조회 2743 추천 0 비추천 0

    Tips&Tricks 건축법 시행령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에 따라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까지 피난 보행거리를 산정할 때 레빗의 Path of Travel 기능을 사용하면 쉽게 피난거리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 스코프박스 완전정복 (Scope Box, What is it...?) 댓글 4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6.04 포인트 무료 조회 2626 추천 1 비추천 0

    Tips&Tricks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코프 박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코프 박스란? 스코프 박스는 뷰 범위를 쉽게 컨트롤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박스 형태의 객체입니다. 유용한 기능에 비해 잘 쓰이지 않는 것 같아서 내용을 공유 드리려고 합니다. 어떻게 만드는지? (View &g…

  • 눈 깜짝할 사이에 기둥과 보 만들기!! 댓글 6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4.28 포인트 무료 조회 3338 추천 3 비추천 0

    Shorts 그리드를 사용하면 기둥과 보를 빠르게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철골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만들기!! 댓글 19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4.26 포인트 무료 조회 2939 추천 0 비추천 0

    Shorts Revit에서도 철골 상세 모델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철골 기둥과 기초가 접합하는 부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만들어 볼 건데요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부품(Parts)을 사용해서 벽 시스템 다이어그램 만들기!! 댓글 2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4.24 포인트 무료 조회 1723 추천 1 비추천 0

    Shorts 부품 기능을 사용하면 복합 레이어로 구성된 객체의 다이어그램을 쉽게 만들 수 있는데요,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지형 등고선 보기 쉽게 조절하는 방법!! 댓글 3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3.24 포인트 무료 조회 2181 추천 1 비추천 0

    Shorts 지형을 만들 때 등고선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기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뷰마다 그리드 길이 똑같이 맞추기!! 댓글 5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3.20 포인트 무료 조회 2237 추천 1 비추천 0

    Shorts 오늘은 층이 다른 뷰를 만들 때 그리드나 치수등을 똑같이 맞추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자세한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지의 절단 깊이 설정하는 방법 댓글 5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3.17 포인트 무료 조회 2255 추천 0 비추천 0

    Shorts 질문으로 들어온 내용 중 단면도에서 대지의 절단 깊이 설정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자세한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레빗에서 꺾인 형태의 단면도 만들기!! 댓글 9
    등록자 Manager
    등록일 03.16 포인트 무료 조회 3271 추천 1 비추천 0

    Shorts 경우에 따라서는 꺾인 형태의 단면도를 만들 필요가 있는데요 레빗에서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꺾인 단면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