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나모 데이터 매칭(Lacing Option): Shortest, Longest, Cross Product 설명

다이나모 데이터 매칭(Lacing Option): Shortest, Longest, Cross Product 설명

다이나모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데이터 매칭(Lacing Option)입니다. 입력되는 데이터의 크기나 개수가 다를 때, 이를 어떻게 연결할지 설정하는 옵션이 바로 Lacing입니다. 적절한 Lacing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하는…

String.Replace 노드를 사용해 문자열의 공백을 제거하는 방법

String.Replace 노드를 사용해 문자열의 공백을 제거하는 방법

문자열을 다룰 때, 공백을 제거하거나 원하는 문자로 대체해야 할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다이나모에서는 String.Replace 노드를 사용해 간단하게 문자열의 공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tring.Replace 노드를 활용해 문자열의 공백을 제거하고,…

List.GroupByKey 및 List.GroupByFunction을 활용한 리스트 그룹화 방법

List.GroupByKey 및 List.GroupByFunction을 활용한 리스트 그룹화 방법

다이나모에서 리스트를 다룰 때,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는 두 가지 강력한 도구인 List.GroupByKey와 List.GroupByFuncti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기능과 사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List.GroupByKey List.GroupByKey 노드는…

List.SortByKey 및 List.SortByFunction을 활용한 리스트 정렬 방법

List.SortByKey 및 List.SortByFunction을 활용한 리스트 정렬 방법

다이나모에서 리스트를 정렬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List.SortByKey와 List.SortByFunction 노드는 특정 기준에 따라 리스트를 정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노드의 차이점과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List.SortByKey List.SortByKey…

무작위 리스트에서 지정한 범위로 아이템 그룹화하는 방법

무작위 리스트에서 지정한 범위로 아이템 그룹화하는 방법

다이나모에서 리스트를 다루다 보면, 특정 조건에 맞는 아이템들을 골라 그룹화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작위로 배열된 리스트에서 일정한 범위에 속하는 아이템들만 추출해 그룹화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예제 리스트 다음과…

리스트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방법

리스트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방법

리스트를 관리할 때,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데이터를 정렬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List.Sort, List.Reverse, 그리고 List.SortByKey 노드를 이용한 정렬 방법을 소개합니다. 1. List.Sort 노드를 사용한 오름차순 정렬 [이미지1]처럼 List.Sort…

리스트에서 Index가 짝수인 리스트와 홀수인 리스트 분리하기

리스트에서 Index가 짝수인 리스트와 홀수인 리스트 분리하기

1. Code Block을 활용한 짝수/홀수 인덱스 분리 리스트를 관리하다 보면 인덱스가 짝수인 것과 홀수인 것을 분리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분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코드 블록을 쓰는 것이 편해서 코드…

코드 블럭(Code Block)을 사용해서 범위를 만드는 4가지 방법 (Range, Sequence)

코드 블럭(Code Block)을 사용해서 범위를 만드는 4가지 방법 (Range, Sequence)

1. Range 노드와 Sequence 노드 Range 노드 Range 노드는 시작 값(Start), 끝(End) 값, 그리고 분할 간격(Step)을 입력으로 받습니다. 그리고 시작 값에서 끝 값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값들이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1]의…